여러분, 원 소스 멀티유즈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원 소스 멀티 유즈란 하나의 소재(one source)로 다양한 상품(multi-use)을 개발, 배급할 경우 시장에서의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 입니다. 최근에는 수익이 큰 문화산업의 특성에 맞추어 아예 기획단계부터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망라하는 문화 컨텐츠를 개발하여 그 효과의 극대화를 노리고 있지요ㅎㅎㅎ
하나의 인기있는 소재만 있으면 추가적 개발비용 부담을 최소화 하면서 다른 상품으로 전환해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는데요. 관련 상품과 매체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어 저렴한 마케팅 및 홍보 비용으로 큰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이같은 전략의 출발은 미국의 '아담스 패밀리' 시리즈에서 최초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답니다.
'아담스 패밀리' 시리즈는 1932년 신문만화에서 출발한 이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2년여에 걸쳐 총 64부작의 TV시리즈가 방영되면서 멀티유즈화가 진행되기 시작했어요. 이후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방영되기도 하였으며, 1977년에는 다시 TV용 영화로 제작되었구요. 1991년에는 베리 노넨필드 감독의 극장용 영화로 제작되어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이와같이 한가지 소스에서 시작하여 여러 영역으로 장르를 확대하는 것이 원 소스 멀티 유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사례들을 한번 살펴볼까요?^^
이 사진은 인크레더블 헐크의 게임 화면이에요.
헐크는 마벨코믹스의 대표적인 슈퍼 히어로중 하나 인데요, 최근 마벨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마벨의 슈퍼 히어로들이 만화책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으로 제작하고 있어요. 헐크 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모두 잘 아시는 아이언맨, 엑스맨, 스파이더맨 모두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으로 제작되었답니다.
미국에서 마벨 코믹스의 인기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데요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뿐만 아니라 캐릭터 피규어 같은 다른 자질구레한 부가 상품까지 합친다면 그 시장의 크기는 정말 어마어마 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이제 포켓몬스터를 한번 살펴볼까요?
포켓몬스터도 원 소스 멀티 유즈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랍니다^^
처음에는 게임보이용 게임으로 제작되어 판매 되다가 후에는 다른 수많은 기종으로 확대되며 1억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고합니다. 초기에는 150마리의 포켓몬스터가 이후에는 500여마리까지 늘어났고, 1997년 TV애니메이션화 되었으며,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 되었습니다. 게임, 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포켓몬TCG, 캐릭터 사업 등 수 많은 영역에서 포켓몬스터의 상품이 제작되어 판매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사례, 아기공룡 둘리를 한번 살펴볼까요?
아기공룡 둘리는 김수정 화백께서 1983년부터 1993년까지 만화잡지 보물섬에 연재한 것이 그 시작인데요
만화의 큰 성공을 바탕으로 1987년에 kbs를 통해 장편 애니메이션을 시작으로 1995년 투니버스의 영어 교육용 비디오, 1996년 극장용 애니메이션 '아기공룡 둘리-얼음별 대모혐', 2004년 '둘리의 나무 속 환상 여행' 그리고 게임으로도 출시가 되었답니다. 둘리의 가장 큰 활동 영역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캐릭터 사업으로 인터넷에서 '둘리'로 검색하면 수 많은 종류의 어린이책과 캐릭터 상품을 찾아 볼 수 있답니다.
둘리는 그 인기를 바탕으로 경기도의 명예 시민이 되기도 하였는데요, 로봇 등록증이 있는 태권브이와 비슷하죠?
태권브이와 둘리 모두 팬들의 큰 사랑에 힘입어 종류는 다르지만 모두 공식 증서를 갖고 있는 점이 큰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사례들을 찾아 보았는데요, 태권브이의 팬들을 위해서도 태권브이의 앞날이 아주 바빠보이죠?ㅎㅎㅎ
제가 보여드린 사례들과 같은 매체, 방법은 아니더라도 태권브이도 원 소스 멀티 유즈를 활용하여 여러가지 방면에서 소비자들을 찾아 간다면 앞으로 더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태권브이는 대한민국에서 공식 증서를 갖고 있는 몇 안되는 캐릭터잖아요. 이런 공식 증서가 수여된 바탕에는 팬들의 큰 사랑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구요.
태권브이를 사랑하는 팬들 중 한명으로서 실사 영화 태권브이를 시작으로 태권브이가 세계에서도 인정 받고 정말 큰 사랑을 받기를 기원하며 마치겠습니다^^
이상 로보트태권브이 연구소의 태권브이로거 'NoBlog'였습니다.
'브랜드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권브이 악당로봇 분석 4탄! 메리로봇! (7) | 2010.08.12 |
---|---|
태권브이의 팔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5) | 2010.08.12 |
장난감들의 이야기, 토이스토리3! 여러분의 그 시절 장난감이 떠 오르셨나요? (2) | 2010.08.11 |
태권브이의 가슴의 광자력 빔, 손등의 미사일은 과연 가능할까요? (1) | 2010.08.05 |
카드게임으로 만나보는 태권브이! (3) |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