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머리에 두개의 빨간색 뿔과 뾰족 나온 귀, 강철 주먹과 튼튼한 다리,
그리고 가슴에 선명한 빨간색의 브이(V) 마크…
2족 보행 거대로봇의 모습이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은 그 시절에
대한민국 고유의 이미지와 정신인
둥그런 팔, 다리의 모습과 운동선수 같은 몸통이 조금은 이상해 보일 수 도 있지만
거대로봇의 개념이 전무했던 당시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보면 정말 놀라운 디자인이었죠.
디자인 이야기가 나온 김에,
태권브이의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1976년 처음 만들어진 <태권브이 오리지널>로부터
㈜로보트태권브이에서 가장 최근까지 준비했던 태권브이의 테스트 디자인까지...
최초로 공개하는 거니까
개봉박두! 두둥!!!
태권브이의 테스트 디자인은 2006년부터 4년의 시간동안,
국, 내외 최고의 매카닉 디자인너들이 참여해서 작업을 하고 있으며
현재도 여러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개발 중에 있습니다.
한가지, 꼭 기억해 주실 것은
이 디지인들은 개발 중에 있는 '테스트 디자인' 이라는 점입니다.
태권브이의 디자인은 여전히 진행중... 이랍니다.
자,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오랜시간 많은 디자이너들이 개발한 것들이라 양이 엄청나다 보니 여러편으로 나눠서 연재할까합니다.
연재순서는,
1. RTKV Test _ Design by 조시니치 1
2. RTKV Test _ Design by 조시니치 2
3. RTKV Test _ Design by 스티브정 & 에드리
4. RTKV Test _ Design by 모팩스튜디오
5. RTKV Test _ Design by 태권브이 디자인 스튜디오 1
6. RTKV Test _ Design by 태권브이 디자인 스튜디오 2
7. RTKV Test _ Design by 태권브이 디자인 스튜디오 3
8. RTKV Test _ Design by 태권브이 디자인 스튜디오 4
9. RTKV Test _ Design by 태권브이 디자인 스튜디오 5
10. 태권브이 디자인 Episode
이렇게 할 예정입니다.
사실 엄청난 양이라 이렇게 줄이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지만,
그래도 ‘기회가 찬스(?)’라는 말도 있으니 열심히 풀어 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세상에 처음 공개되는 조시니치(Joshnizzi) (디자이너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의
태권브이 디자인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참, 그전에,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태권브이 클래식>입니다.
이 디자인은 2006년 ㈜로보트태권브이가 설립되면서 <로이앤블럭>과 함께 디자인 한 것으로
기존의 <태권브이 오리지널>을 원형에 가장 가까운 형태에서 디자인 매뉴얼로 재구성 한 것입니다.
<태권브이 오리지널>이 만화영화 제작 당시 김청기 감독님과 참여하신 다른 감독님들의 손끝에서 만들어졌다면,
<태권브이 클래식>은 정확한 매커니즘을 통해 균형과 동작 등을 계산하여 만들어진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겠죠.
자, <태권브이 오리지널>과 <태권브이 클래식>은 이정도로 하구요.
그럼 이제부터 조시니치(Joshnizzi)의 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들을 공개하겠습니다.
혹시 놀라셨나요?
‘이게 무슨 태권브이야’ 라고 생각하신 분들도 계시겠죠?
그래서...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지금부터 나오는 것들은 다 테스트 디자인 이라는 거!!!
이 테스트 디자인은 조시니치(Joshnizzi)라는 디자인이너의 작품입니다.
조시니치(Joshnizzi)는 여러분도 잘 아시는 <트랜스포머>의 컨셉아트로 유명한 디자이너죠.
조시니치(Joshnizzi)가 디자인한 이 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은
서양인들, 특히 매카닉 디자인과 컨셉아트 전문가의 시점에서 재해석해 본 최초의 서양적 태권브이라는 점에 있어서
굉장히 의미있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프로젝트로서의 태권브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지요.
이 테스트 디자인을 보면 <트랜스포머> 속의 로봇들과도 유사하다고 생각되실 텐데요
그것은 외국인들, 특히 서양인들에게 로봇이라는 존재는 <기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기 때문일 것입니다.
<트랜스포머> 속 로봇들이 각각의 생명(이렇게 표현하는 게 맞겠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디자인이 거의 기계적 매카닉으로 표현되어 있는 걸 보면
태권브이를 보는 그들의 시각도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시니치(Joshnizzi)의 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정말 극과 극의 반응으로 엇갈리는 데요.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대한민국의 대표 로봇 <태권브이>의 새로운 탄생을 위한 과정이라고 지켜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이번 편은 여기까지구요.
다음 편은 조시니치(Joshnizzi)의 태권브이 그 두번째 이야기가 공개됩니다.
더 놀라운 테스트 디자인들이 공개됩니다!!!
기대해 주세요.
메리오빠였습니다.
'프로젝트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보트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 프로젝트 05 - Design by Mofac Studio 2 (89) | 2010.08.09 |
---|---|
로보트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 프로젝트 04 - Design by Mofac Studio 1 (31) | 2010.08.07 |
로보트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 프로젝트 03 - Design by 스티브정 & 애드리 (42) | 2010.07.13 |
로보트태권브이 테스트 디자인 프로젝트 02 - Design by 조시니치 2 (31) | 2010.07.08 |